Jay의 잡다한 글/호주자료

[호주어학연수/호주유학/호주이민]호주생활 정보

uhakpen jay 2008. 12. 22. 10:08
[호주어학연수/호주유학/호주이민]호주생활 정보

 

[호주어학연수/호주유학/호주이민]호주생활 정보

호주생활 정보
조회 : 2 2008/10/25 02:03:59
호주생활 정보

은행

은행계좌 개설은 꼭 은행에서만 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유학생들에게는 Commonwealth Bank, Westpac Bank, National Bank, ANZ Bank 같은 큰 은행과 거래를 하는 것이 권장된다. 그것은 이러한 큰 은행들은 외국 은행들과 거래를 하기 때문에 송금이 더욱 쉽고 외국에 지점망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보통 학교 안에 있는 은행과 거래한다면 이용이 편리하다. 해외 은행 수표를 결제하려면 약 2주 정도의 시간이 걸리므로 여행자 수표나 현금 등 다른 방법을 통해 호주 도착 후 처음 몇 주일동안 쓸 수 있는 돈을 준비해야 한다. 여행자 수표는 호주은행에서 아주 쉽게 현금으로 바꿀 수 있다. 은행의 업무시간은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는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4시까지, 금요일은 오후 4시 30분까지이다. 만약 은행 업무시간 외에 환전을 해야 한다면 관광객들이 많은 대도시의 환전소나 Thomas Cook같은 큰 여행사에서도 환전할 수 있다.


 의료보험

호주에 오는 유학생이나 그 가족들은 머무는 기간 만큼의 Overseas Student Health Cover (OSHC)라는 일종의 유학생 의료보험을 가입해야 한다. 학생비자를 받기 전에 학교에 내는 등록금과 같이 지불하도록 되어있다. 한 과정을 마치고 계속 공부를 한다면 비자를 연장하기 이전에 의료 보험을 갱신해야 한다. 의료보험카드로 모든 사항이 다 혜택을 받는 것은 아니다. 사립 병원에게 진료를 받았을 때의 진료비는 평균 85% 정도 만을 지원 받고 나머지는 본인이 부담하게 되지만 공립병원에서는 진료비의 전액을, 병원에 입원할 경우에는 최대 35일까지 입원비 전액을 지원 받는다. 치과, 안과, 약국에서 쓴 비용, 물리 치료 등 몇 가지 예외가 있으므로 미리 알아보는 것이 좋다.


 취업

일자리를 구하면 여러 면으로 좋을 수 있다. 하지만, 적당한 일자리를 구하는 것이 쉽지 않고 또한 일하면서 공부한다는 것도 힘든 일이다. 자기가 벌어서 학비와 생활비를 해결하겠다는 생각으로 호주에 간다면 위험하기도 하고, 때로는 공부를 제대로 마치지 못하고 돌아오는 경우도 있다. 유학생들은 학기 중에 주당 20시간 이내에서 아르바이트를 할 수 있고 방학 중에는 시간제한이 없다. 단순한 임시직이며 정식 사원이 아닌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많은 수입을 얻을 수는 없다. 영어를 잘하고 작문기술이 있다면 더 나은 일자리를 얻을 수도 있다. 하지만 특별한 기술을 요구하지 않는 주방이나 공장일 등 그다지 훌륭한 영어실력을 요구하지 않는 일도 많이 있다. 일자리를 알아보려면 교내의 취업상담과 (Career Office/ Employment Office), 지역 신문, 사설 취업 알선소, 상점의 유리창, 농장일 등을 참고하면 된다.


 생활비

96-97년도 통계에 의하면 한 유학생이 일년에 필요한 생활비는 평균 약 11,000-14,000불 정도로 나타났다. 이 비용에는 주거비, 식비, 교통비, 약간의 의복비 및 여흥비가 포함된다. 학비나 항공비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비용이다. 시드니나 멜버른과 같은 대도시에 살 경우에는 소도시에 사는 것보다 생활비가 비싸고, 도시 안에서도 시내와 가까울수록 집세가 비싸다. 집세가 비싸다고 외곽에서 거주하게 되면 학교까지의 교통비 또한 적지 않다. 그러므로 여러 가지 고려한 후에 거주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오락이나 여흥에 관련된 지출은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그에 따른 지출액은 각자의 취향과 예산 그리고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다르다. 가족을 동반하는 경우에는, 일 년에 배우자를 위해 대략 일인 기준의 50% (약 6000불 정도) 와 한 자녀 당 25% (약 3-4000불) 정도가 더 필요하다. 또한, 동반 자녀가 취학 아동이라면 학비도 준비하여야 한다.


 교통수단

호주의 기차, 버스, 전차(Tram), 배(Ferry), 2개의 국제 항공사 및 여러 국내선 항공사 등을 포함한 교통수단은 비싼 편이다. 대도시 지역은 구간(Zone)으로 나뉘어져 있고 승차권의 종류나 요금은 가려고 하는 목적지와 기간에 따라 달라진다. 어떤 종류의 대중 교통 수단이든지 편도(Single) 승차권 또는 왕복(Return) 승차권을 구입할 수 있다. 만약 지속적으로 대중 교통을 이용할 경우에는 일일 티켓보다 한 주나 한 달 동안 쓸 수 있는 정기권을 사는 것이 저렴하다. 어떤 지역에서는 여러 교통 수단을 탈 수 있는 멀티플 트립 티켓 (Multiple-trip Ticket) 도 살 수 있다.


 통신수단

호주에는 동전만 사용할 수 있는 공중전화와 동전과 전화카드를 같이 사용할 수 있는 공중전화가 있다. 시내 공중전화 통화료는 40센트이고 가정집의 전화로는 25센트이다. 제한시간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물론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어서는 안 된다. 장거리 시외전화(STD Call 이라 한다 : 25Km 이상 떨어져 있는 지역) 통화료는 거리와 소요시간, 시간대에 따라 결정된다. 전화 서비스 회사로는 텔스트라(Telstra)와 옵터스(Optus)가 있고 시외전화나 국제전화를 사용할 때 서비스 회사를 선택할 수 있다. 어떤 회사가 저렴한 요금기준을 가지고 있는지 또 어떠한 서비스 혜택이 있는지 미리 알아보고 결정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